과제정보 조회

과제정보 상세조회

과제 상세정보

사업명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내역사업명 우수연구-중견연구(유형1)
과제명 국문 인공지능으로 단계 잇는 다단계 분자모델링: 용액 상 양자구조 성장 재현
영문 AI-assisted scale bridging for multi-scale molecular modeling of quantum structure growth in electrolyte solutions
과제기준년도 2024 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제관리(전문)기관 한국연구재단 과제수행기관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연구책임자 장윤희 연구개발단계 기초연구
연구수행주체 대학 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과제고유번호 2710004280 (기관)세부과제번호 00340218
총연구기간 2024-05-01 ~ 2027-04-30 당해 연도 연구기간 2024-05-01 ~ 2025-04-30

키워드 한글 다단계 다중역학 분자모델링, 인공지능으로 단계 잇기, 원자스케일 메조스케일, 양자역학 고전역학 통계역학, 유무기 소재 성장 변이 반응 수송
영문 multiscale multiphysics molecular modeling, AI-assisted scale bridging, atom scale vs mesoscale, quantum vs classical vs statistical , organic inorganic quantum structure growth
연구목표
(요약)
▶ 제일원리 분자 수준 가상반응기 과제를 첨단 소재 합성 용액 공정으로 확장한다. 용액 공정으로 합성되는 비정질 유/무기 나노입자/나노도메인의 구조와 특성을 실험에 의존하지 않고 분자 ... 고전역학, 유한요소법 등의 한 단계 모델링만으로는 다루기 어려운 도전적 과제이므로 기계학습/인공지능을 단계 잇기에 활용한다. 기존 공동연구에서 축적해놓은 여러 단계 분자모델링 결과 및 신규 ...
연구내용
(요약)
... 계산-실험 공동연구 수에서도 확인된다. 게다가 기계학습 출현 후, 계산화학 결과로 학습한 인공지능이 물질을 수백만 개 설계하고 자율로봇이 합성하며 전통적인 화학실험실을 대체할 미래까지 그려지고 ... 기계가 학습하는 계산화학 데이터가 실제 실험을 잘 반영하지 않는다면, 높은 실패율과 많은 합성으로 환경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다.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화학자의 지식과 직관으로 경우의 수를 ...
기대효과
(요약)
...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험 관측에만 의존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빠르게 발전해 온 슈퍼컴퓨팅과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실험과의 간극을 줄인 제일원리 다단계 분자모델링을 완성하여, 실험 한계를 극복하고 ... 다양한 분야에 개발된 방법을 적용하여 범용성 확보.▶ 생분자 응축, 액상 내 상분리, 막 없는 세포 소기관 등의 생명 현상 기초 연구에 일조.▶ 유전자 전달 나노입자 시약, mRNA 백신 등의 ...

과학기술표준 연구분야 화학 · 물리화학 · 양자화학/전산화학
화학 · 물리화학 · 열역학/통계열역학
화학 · 물리화학 · 표면/계면화학
과학기술표준 적용분야 지식의 진보(비목적연구)
부처자체분류
6T관련기술 나노모사기술

총연구비(단위:원)
년도 정부연구비 민간연구비 소계
2024 144,177,000원 0원 144,177,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