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조회

과제정보 상세조회

과제 상세정보

사업명 국가신약개발사업(R&D)
내역사업명 (이관)(세부1)신약 기반 확충 연구
과제명 국문 연령관련 황반변성 경구용 치료제 유효/선도물질 발굴
영문 Development of hit/lead compound for oral treatment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과제기준년도 2024 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제관리(전문)기관 재단법인 국가신약개발사업단 과제수행기관 경북대학교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박동호 연구개발단계 응용연구
연구수행주체 대학 지역 대구광역시 북구
과제고유번호 2710003527 (기관)세부과제번호 DD120784
총연구기간 2021-11-01 ~ 2024-10-31 당해 연도 연구기간 2024-01-01 ~ 2024-10-31

키워드 한글 연령관련 황반변성, 맥락막, 유효물질, 선도물질도출
영문 age related macular degeneration, choroid, drug hit, drug lead
연구목표
(요약)
연구 개발 목표▶ 신생혈관성 연령관련 황반변성 저분자 치료제 유효물질 및 선도물질의 도출? 인구 고령화와 함께 실명 유발의 제 1의 원인인 연령관련 황반변성 유병률 급격히 증가함? 기존 치료제는 침습적인 안구내 주사 경로로 인해 환자의 공포감과 거부감이 심하고 박테리아 및 진균의 주사경로 침투로 인한 안내염 합병증은 실명을 초래하는데 비해 현재 임상에서 쓰...
연구내용
(요약)
1. TPP에 부합하는 초기 유효물질 확보- 초기 활성 물질 GM10095, GM10123 구조에 기반한 신규 유도체 디자인 및 합성을 통한 유효물질 최적화- in vitro PDK4 활성 억제 평가 (IC50)- in vitro 미토콘드리아 대사 개선 효능 평가 (EC50)- in vitro ADME/T 및 in vivo PK 평가- in vivo 유효성 평가- ...
기대효과
(요약)
1. 후속 개발 계획- 황반변성뿐만 아니라 신생혈관성 안질환 치료제로의 적응증 확대- 약물의 용해도 시험조건 및 분석조건 확립을 통해 도출되는 선도물질의 신약개발 근간을 제시- 도출되는 유효/선도물질을 기반으로 최적화 연구를 통한 후보물질 개발과제로의 후속연구를 진행2. 연구개발성과의 기대효과- 경구용 치료제가 없는 황반변성을 치료하는데 효율적이고 독창적인...

과학기술표준 연구분야 보건의료 · 임상의학 · 피부/감각기학
생명과학 · 분자세포생물학 · 달리 분류되지 않는 분자세포 생물학
과학기술표준 적용분야 건강
부처자체분류
6T관련기술 난치성 질환 치료기술

총연구비(단위:원)
년도 정부연구비 민간연구비 소계
2024 305,057,000원 0원 305,057,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