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조회

과제정보 상세조회

과제 상세정보

사업명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내역사업명 생애기본연구-기본연구
과제명 국문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뇌미세혈관 손상 영상화 기법 연구
영문 Investigation of Cerebrovascular Damage in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과제기준년도 2024 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제관리(전문)기관 한국연구재단 과제수행기관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연구책임자 CHOIJOONYUL 연구개발단계 기초연구
연구수행주체 대학 지역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과제고유번호 2710002546 (기관)세부과제번호 00251484
총연구기간 2023-06-01 ~ 2025-02-28 당해 연도 연구기간 2024-03-01 ~ 2025-02-28

키워드 한글 외상성 뇌손상, 뇌혈관반응도, 퇴행성 신경 질환, 자기공명영상, 인공지능
영문 Traumatic Brain Injury, Cerebrovascular Reactivity, Neurodegenerative Disease, Magnetic Resonance Imaging, Artificial Intelligence
연구목표
(요약)
본 연구의 목표는 외상성 뇌손상(Traumatic Brain Injury) 환자의 뇌 미세혈관 손상(Cerebrovascular Damage)을 정량적(Quantitative)으로 측정 할 수 있는 새로운 자기공명영상(MRI) 기법을 탐구하여 뇌 미세혈관 손상 정도를 측정하며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는 혁신적인 기술 발전을 가져오는 것이다.
연구내용
(요약)
본 연구는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게서 신경세포의 손상에 의한 뇌의 혈관확장반응도 (Cerebrovascular Reactivity)를 MRI로 관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영상을 활용하여 환자의 예후 예측 인공지능 모델 개발을 목표로 한다. 연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2가지의 핵심 기술을 연구하자고 한다. [핵심 기술 1: 자기공명을 이용한 뇌혈관반응도 영상법] ...
기대효과
(요약)
본 연구의 결과물인 뇌혈관반응도 영상법이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뇌미세혈관 진단에 있어 임상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정량적으로 측정된 정보들은 질병의 진행 정도 등을 판단하기 위한 객관적인 지표로 사용 될 수 있다. 또한 이 기술이 외상성 뇌손상 진단에 확립되면 국민건강증진과 국가적 비용 감소에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물인 영상기법은 국내 관...

과학기술표준 연구분야 보건의료 · 의료기기 · MRI
보건의료 · 임상의학 · 신경과학
보건의료 · 임상의학 · 영상의학
과학기술표준 적용분야 건강 · 제조업(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부처자체분류
6T관련기술 뇌신경과학 연구

총연구비(단위:원)
년도 정부연구비 민간연구비 소계
2024 54,144,000원 0원 54,14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