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조회

과제정보 상세조회

과제 상세정보

사업명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내역사업명 우수연구-중견연구/후속(유형2)
과제명 국문 나노구조기판의 지형학적 인자를 이용한 세포노화 및 기능 제어 연구
영문 Control of Cellular Senescence and Function using Topographical Cue on Nano-structured Substrates
과제기준년도 2024 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제관리(전문)기관 한국연구재단 과제수행기관 한양대학교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이진석 연구개발단계 기초연구
연구수행주체 대학 지역 서울특별시 성동구
과제고유번호 2710000359 (기관)세부과제번호 00165305
총연구기간 2022-09-01 ~ 2027-02-28 당해 연도 연구기간 2024-03-01 ~ 2025-02-28

키워드 한글 나노구조기판, 지형학적 인자, 세포노화, 세포기능, 세포흡착
영문 nano-structured substrate, topographical cue, cellular senescence, cellular function, cellular adhesion
연구목표
(요약)
○ 본 연구에서는 피부ㆍ줄기ㆍ신경세포의 노화과정에서 발현되는 세포의 생리적, 병리학적 현상들을 모니터링하고, 나노구조 기판의 지형학적인 인자들에 의해 조절된 세포의 흡착/이동 및 발달단계가 세포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며, 노화 억제효과가 있는 지형학적 인자 기반의 나노바이오패치를 제작하여 노화관련 질병치료에 활용하고자 함. ○ 본 연구에서는 ...
연구내용
(요약)
(1) 1차년도 (2022) 세포노화 제어 및 모니터링 연구: 1차 년도에는 화학요법에 의해 유도된 세포노화 과정에 대한 이해와 제어 및 모니터링 연구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할 계획임. 본 세포노화 연구에서 계획하고 있는 세포군은 피부세포(human fibroblast, WS1), 줄기세포(human mesenchymal stem cells, hMSC), 신경세포 ...
기대효과
(요약)
(1) 연구과제의 활용방안○ 본 연구의 성공적인 수행으로 지형학적 인자의 변화에 따른 세포노화의 제어에 대한 경향성을 확보함으로써, 세포노화로 유발되는 생체조직 내부의 염증발현과 점진적인 ... 효과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2) 연구과제의 기대효과○ 본 연구의 성공적인 수행으로 인공표면의 지형학적인 변화에 따른 세포노화 정도를 체계적으로 정립하고 경향성을 확보함으로써, 세포의 ...

과학기술표준 연구분야 화학 · 무기화학 · 무기소재화학
화학 · 재료화학 · 나노재료화학
화학 · 재료화학 · 바이오재료화학
과학기술표준 적용분야 제조업(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부처자체분류
6T관련기술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총연구비(단위:원)
년도 정부연구비 민간연구비 소계
2024 271,631,000원 0원 271,631,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