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조회
과제정보 상세조회
과제 상세정보
사업명 | 국가신약개발사업(R&D) | |||
---|---|---|---|---|
내역사업명 | 신약 기반 확충 연구 | |||
과제명 | 국문 | STING 활성화제 기반 비 T세포 침윤성 암에 대한 면역항암 선도물질 도출 | ||
영문 | Discovery of STING allosteric activator targeting non-T cell inflamed tumor | |||
과제기준년도 | 2024 | 부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과제관리(전문)기관 | 재단법인 국가신약개발사업단 | 과제수행기관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
연구책임자 | 이상희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
연구수행주체 | 기타 | 지역 | 서울특별시 성북구 | |
과제고유번호 | 2710000162 | (기관)세부과제번호 | 00166522 | |
총연구기간 | 2022-08-01 ~ 2025-07-31 | 당해 연도 연구기간 | 2024-01-01 ~ 2024-12-31 |
키워드 | 한글 | 면역항암제, STING 활성화제, 알로스테릭 조절, 면역표현형 | ||
---|---|---|---|---|
영문 | Cancer immunotherapy, STING activator, Allosteric regulation, Immunophenotype | |||
연구목표 (요약) |
... 반응률에 대한 미충족 의학적 수요가 존재함- 면역관문억제제의 낮은 반응률의 원인으로 낮은 T세포 침투가 밝혀졌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선천면역반응 촉진 전략으로 STING 작용제가 각광받고 ... 알로스테릭 활성화제를 개발하고자 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구조-활성 상관관계 연구 - 물질 합성 - in silico 분석 - in vitro & in vivo 유효성 평가 - 기전 연구의 ... | |||
연구내용 (요약) |
1) 물질합성 연구: Focused 라이브러리 구축 및 활성 최적화 선도물질 발굴2) In vitro 유효성 평가: STING 하위 신호에 대한 reporter assay와 싸이토카인 ... 분석하여 투여경로를 확보할 예정임.5) 병용투여 모델 확립: cGAMP 직접 주입이 아닌 암세포 주변 cGAMP 생성을 조건을 확립하여 모델을 확립하고 in vivo 유효성 평가에 적용하고자 ... | |||
기대효과 (요약) |
... 면역 질환의 새로운 적응증에 적용 가능함.기대효과- 과학기술적 측면으로는 혁신신약 클래스의 항암제 개발에 기여하고, 암의 미세환경 변화에 따른 면역항암제 작용에 대한 이해를 촉진하고, 생물학적 연구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함.- 사회,경제적 측면으로는 원천기술 확보에 의해서 추후 STING 활성화를 유도하는 대형 글로벌 제약회사로 기술이전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 |
과학기술표준 연구분야 |
보건의료 · 신약·의약품개발 · 저분자의약품 화학 · 유기화학 · 의약/조합 화학 화학 · 융합화학 · 화학생물학 |
|||
---|---|---|---|---|
과학기술표준 적용분야 | 제조업(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 건강 | |||
부처자체분류 | ||||
6T관련기술 | 바이오신약 개발기술 |
총연구비(단위:원) | |||
---|---|---|---|
년도 | 정부연구비 | 민간연구비 | 소계 |
2024 | 329,409,000원 | 0원 | 329,409,000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