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조회

과제정보 상세조회

과제 상세정보

사업명 혁신성장 피부건강 기반기술 개발사업(R&D)
내역사업명 필수 고부가가치 기초소재 개발
과제명 국문 피부세포 역노화 스크리닝 플랫폼 기술 기반 식물세포 유래 액티브 소재 개발 및 사업화
영문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plant cell-derived active materials based on skin cell reverse aging screening platform technology
과제기준년도 2024 부처 보건복지부
과제관리(전문)기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과제수행기관 바이오에프디엔씨
연구책임자 모상현 연구개발단계 개발연구
연구수행주체 중소기업 지역 인천광역시 연수구
과제고유번호 2460000548 (기관)세부과제번호 00345193
총연구기간 2024-04-01 ~ 2026-12-31 당해 연도 연구기간 2024-04-01 ~ 2024-12-31

키워드 한글 식물세포, 엑소좀, 리프로그래밍, 피부 세포 역노화
영문 plant cell, exosome, reprogramming, skin cell rejuvenation
연구목표
(요약)
... 250종 이상 구축?식물세포주 라이브러리 250종에서, SMART-RC2 기술이 적용된 식물세포 대량배양이 가능한 25종 식물세포주를 확보?피부세포 역노화 스크리닝 플랫폼 기술인 CPB-MCSS을 ... 인체적용시험 등으로 과학적 효능 기반 글로벌 선도 소재 및 제품을 개발하고자 한다. 식물세포배양 인공배양 플랫폼 기술은 국내 자생식물 세포주를 활용하여 지속가능한 소재 공급이라는 측면에서 ...
연구내용
(요약)
□ 1차년도(1단계) ○ (주관연구개발과제)- 연구개발 내용 1: 최적화된 식물세포 배양 프로세스를 활용한 식물세포 유래 DNA(PDRN), 식물세포 유래 세포외소포체(Extracellular ... RNA-seq)- 연구개발 내용 3: 유전자 발현 패턴 데이터 분석을 통한 빅데이터 구축▶ 유전자 발현 패턴 분석을 통한 액티브 소재의 핵심 역노화 조절 유전자 및 경로 확인 (피부 섬유아세포, ...
기대효과
(요약)
○ 피부세포에서의 역노화 메커니즘 규명 및 차세대 액티브 원천 소재 개발 기대○ 식물세포 인공배양 기술을 활용하여 생산 플랫폼 구축으로 자연을 훼손하지 않는 친환경적 생산 공정 개발 ... 수출 기대○ 기술 라이센싱 아웃과 제품 수출을 통한 외화획득 효과 기대○ 기술적 측면 - 피부세포에서의 역노화 메커니즘 연구를 통한 새로운 기능성 효능 가능성 시사 - 피부역노화 분야의 새로운 ...

과학기술표준 연구분야 생명과학 · 산업바이오 · 바이오화장품
생명과학 · 융합바이오 · 나노바이오소재
생명과학 · 산업바이오 · 바이오공정
과학기술표준 적용분야 기타 산업
부처자체분류
6T관련기술 기능성 바이오소재 기반기술

총연구비(단위:원)
년도 정부연구비 민간연구비 소계
2024 225,000,000원 75,000,000원 300,000,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