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조회
과제정보 상세조회
과제 상세정보
사업명 | 창업성장기술개발(R&D) | |||
---|---|---|---|---|
내역사업명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디딤돌) | |||
과제명 | 국문 | 뇌 면역세포 제어기반 근위축성 측삭경화증(루게릭 병) 합성약물 개발 | ||
영문 | Development of microglia rejuvenating synthetic drugs for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Lou Gehrig's Disease) | |||
과제기준년도 | 2024 | 부처 | 중소벤처기업부 | |
과제관리(전문)기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과제수행기관 | 브레인이뮤넥스 주식회사 | |
연구책임자 | 권민수 | 연구개발단계 | 응용연구 | |
연구수행주체 | 중소기업 | 지역 | 경기도 성남시 | |
과제고유번호 | 2420005976 | (기관)세부과제번호 | 00444894 | |
총연구기간 | 2024-08-01 ~ 2025-07-31 | 당해 연도 연구기간 | 2024-08-01 ~ 2024-12-31 |
키워드 | 한글 | 미세아교세포, 포식기능, 노화, 근위축측삭경화증, 약물 | ||
---|---|---|---|---|
영문 | Microglia, Phagocytosis, Senescence,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Drug | |||
연구목표 (요약) |
루게릭 질환 운동신경 손상과 임상증상 진행을 늦추고 생존율을 높이는 합성 신약을 개발하여 루게릭 병 환자에게 임상적용 가능한 신약을 개발하고자 함 | |||
연구내용 (요약) |
1. 뇌 면역세포(미세아교세포)의 노화가 루게릭 병을 포함한 퇴행성 뇌질환의 공통적인 특징으로 질환의 진행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음2. 노화된 뇌 면역세포는 독성 단백응집체 제거하는 ... 동시가 포식기능을 회복시키는 약물(BX1001)을 발굴함4. BX1001 및 관련 유도체를 합성 중에 있고 이 유도체의 독성 및 ADME 평가 후 루게릭 병 동물모델 효능평가를 진행하고자 | |||
기대효과 (요약) |
-현재 시판되고 있는 루게릭 병 치료약물은 2종에 머물고 있음-매우 제한적인 루게릭 병 신규 치료기술 개발-기존 치료제보다 치료접근성과 효능이 높은 치료약물 개발-글로벌 루게릭 병 치료제 시장규모 20-30억달러 (2027년)의 5%이상 점유율을 확보하고 최종 20%이상 확보할 경우 사회경제적 가치가 매우 높음. 최근 퇴출된 렐리브리오의 경우 9800만달러... |
과학기술표준 연구분야 |
보건의료 · 의생명과학 · 분자세포생물학 보건의료 · 임상의학 · 신경과학 보건의료 · 신약·의약품개발 · 의약품 합성/탐색 |
|||
---|---|---|---|---|
과학기술표준 적용분야 | 건강 · 지식의 진보(비목적연구) ·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 |||
부처자체분류 | ||||
6T관련기술 | 뇌신경과학 연구 |
총연구비(단위:원) | |||
---|---|---|---|
년도 | 정부연구비 | 민간연구비 | 소계 |
2024 | 60,000,000원 | 20,000,000원 | 80,000,000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