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조회
과제정보 상세조회
과제 상세정보
사업명 | TIPA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세부사업 일반회계 | |||
---|---|---|---|---|
내역사업명 | 투자형R&D(스케일업 팁스) | |||
과제명 | 국문 |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뒤센 근디스트로피(DMD) 치료용 복합신약 효력 및 독성 연구 | ||
영문 | A study on the efficacy and toxicity of a new combinatorial drug for the treatment of Duchenne muscular dystrophy (DMD) using AI technology | |||
과제기준년도 | 2024 | 부처 | 중소벤처기업부 | |
과제관리(전문)기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과제수행기관 | 닥터노아바이오텍 주식회사 | |
연구책임자 | 김은정 | 연구개발단계 | 개발연구 | |
연구수행주체 | 중소기업 | 지역 | 경기도 수원시 | |
과제고유번호 | 2420002424 | (기관)세부과제번호 | TI016642 | |
총연구기간 | 2022-08-01 ~ 2024-07-30 | 당해 연도 연구기간 | 2024-01-01 ~ 2024-07-30 |
키워드 | 한글 | 뒤센근이영양증, 희귀질환, 인공지능, 복합신약, 저분자의약품 | ||
---|---|---|---|---|
영문 | Duchenne muscular dystrophy, rare disease, Artificial intelligence, Combinatorial drug, small molecule drug | |||
연구목표 (요약) |
? DMD 질환 치료 복합신약 개발 - DMD는 13가지 근이영양증 가운데 가장 흔한 질환으로 X염색체 상의 dystrophin 유전자 이상에 의한 유전병으로 2~5세 사이에 근육의 위축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약 20세 이전에 사망하게 되는 희귀질환임. 현재 DMD 증상의 악화를 멈추거나 정상으로 되돌리는 치료제는 없으며, 증상 진행을 늦추는 효과가 있다고 ... | |||
연구내용 (요약) |
? DMD 복합신약 후보 조합 선정 - 선행 연구 결과 확보한 복합신약 후보 조합 23종의 복합물 중 근육세포 분화 효능이 우수하고 Notch 수용체의 Ligand인 JAG1 발현을 증가시키는 약물 조합을 선별. - 선별된 약물 조합 중 임상에서 개발시 부작용 및 제제,제형의 개발 이슈를 고려하여 개발 가능성이 높은 약물 조합 후보 5개를 최종 선정. ... | |||
기대효과 (요약) |
? DMD 희귀질환 치료제의 기술이전 -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된 복합신약의 기술이전을 통한 새로운 시장 창출 - ARK 플랫폼을 활용하여 다양한 질환에 대해 꾸준한 치료제 개발이 가능하며, 기술이전 사례 확보 시 지속적인 신약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인공지능 기술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국내 제약사 모델 제시 - 빠르고 효율적이며, 지속가능한 ... |
과학기술표준 연구분야 |
화공 · 정밀화학 · 의약제제 생명과학 · 발생/신경생물학 · 신경질환생물학 생명과학 · 융합바이오 · 달리 분류되지 않는 융합바이오 |
|||
---|---|---|---|---|
과학기술표준 적용분야 |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 |||
부처자체분류 | ||||
6T관련기술 | 난치성 질환 치료기술 |
총연구비(단위:원) | |||
---|---|---|---|
년도 | 정부연구비 | 민간연구비 | 소계 |
2024 | 175,000,000원 | 31,250,000원 | 206,250,000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