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조회
과제정보 상세조회
과제 상세정보
사업명 | 한국연구재단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
---|---|---|---|---|
내역사업명 | 연구교류지원사업(양자) | |||
과제명 | 국문 | 말초신경 재생용 전도성 신경 도관과 결합된 전기자극 기술 | ||
영문 | Electroceuticals with multi-channel conductive nerve conduit for peripheral nerve regeneration | |||
과제기준년도 | 2023 | 부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과제관리(전문)기관 | 한국연구재단 | 과제수행기관 | 고려대학교 | |
연구책임자 | 구자현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
연구수행주체 | 대학 | 지역 | ||
과제고유번호 | 1711202863 | (기관)세부과제번호 | 2021K2A9A1A06086536 | |
총연구기간 | 2022-01-01 ~ 2023-12-31 | 당해 연도 연구기간 | 2023-01-01 ~ 2023-12-31 |
키워드 | 한글 | 전도성 신경도관, 신경도관, 전기자극, 전자약, 말초신경재생 | ||
---|---|---|---|---|
영문 | conductive conduit, nerve guidance conduit, electrical stimulation, electroceuticals, peripheral nerve regeneration | |||
연구목표 (요약) |
... 말초신경의 장거리 신경결손부 재생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1) 신경결손부에 복합채널 포함한 시한성 신경도관 개발을 목표로 함. (2) 시한성 신경도관 물질은 전기적 전도성이 있으며, 생체적합성이 뛰어난 소재임. (3) 소동물 (rat) 단계에서 신경도관 및 전기자극을 적용하여 신경재생 기전 규명과 효능 최적화를 목표로 함.⇒ 위의 혁신적인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한국 연구책임자와, ... | |||
연구내용 (요약) |
... 있도록 실제 신경을 모사한 말이집(myelin sheath)구조를 적용함. 말초신경의 슈반세포가 형성하는 미엘린은 신경세포 축삭돌기에서 전달되는 전기신호를 신경섬유 내부에 가두어 신호전달을 ... 감싸 기존 장치의 문제였던 체액의 침투로 인한 주변 조직으로의 전기 누전을 최소화하고자 함. 인공지질 폴리머를 최외각에 감싸는 형태로 구성하며, 이는 신경도관의 파손을 방지하고 신경전달 속도를 ... | |||
기대효과 (요약) |
... 전도도 등)를 최소화하며 기확보한 전문가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체내실험의 성공도를 높이고 전기자극 전임상 효능 비교데이터를 확보할 예정임.○ 산업적 측면: 재활치료 및 헬스케어 산업에서 생체적합성 및 고감도 성능을 바탕으로 개인별, 증상별 상태에 따른 국부 재활/재생용 전기치료의 상용화 가능. 생분해성 기반 새로운 헬스케어 기술의 선도적 연구를 통해, 고성능의 생분해성 임플란트 ... |
과학기술표준 연구분야 | 재료 · 금속재료 · 생체재료기술 | |||
---|---|---|---|---|
과학기술표준 적용분야 | 건강 | |||
부처자체분류 | ||||
6T관련기술 | 생체조직 재생기술 |
총연구비(단위:원) | |||
---|---|---|---|
년도 | 정부연구비 | 민간연구비 | 소계 |
2023 | 30,000,000원 | 0원 | 30,000,000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