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조회
과제정보 상세조회
과제 상세정보
사업명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
---|---|---|---|---|
내역사업명 | (유형1-2)중견연구 | |||
과제명 | 국문 | 세포 모방형 캡슐 설계를 통한 초미세 반응기 및 센서 구현 | ||
영문 | Designing Cell-Mimicking Microcapsules for Microreactors and Microsensors | |||
과제기준년도 | 2021 | 부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과제관리(전문)기관 | 한국연구재단 | 과제수행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
연구책임자 | 김신현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
연구수행주체 | 대학 | 지역 | 대전광역시 유성구 | |
과제고유번호 | 1711147134 | (기관)세부과제번호 | 2020R1A2C2003245 | |
총연구기간 | 2020-03-01 ~ 2025-02-28 | 당해 연도 연구기간 | 2021-03-01 ~ 2022-02-28 |
키워드 | 한글 | 마이크로캡슐, 초미세 반응기, 초미세 센서, 미세유체시스템, 다상 액적, 하이드로젤, 막투과, 분자 선택성, 효소 | ||
---|---|---|---|---|
영문 | Microcapsules, Microreactors, Microsensors, Microfluidics, Multiple emulsion, Hydrogels, Transmembrane permeation, Molecular selectivity, Enzyme | |||
연구목표 (요약) |
● 연구의 최종 목표: 세포 모방형 마이크로캡슐 기반의 미세반응기 및 캡슐형 센서 구현☞ 세부 연구 목표 1: 분자에 대한 선택적 투과 특성을 갖는 세포 모방형 마이크로캡슐 설계▶ 미세유체시스템을 ... 미세반응기 및 캡슐형 센서 플랫폼 구현▶ 선택적 물질 투과가 가능한 마이크로캡슐 내부에 (인공) 효소 담지를 통해 외부 환경과의 물질 교환이 가능하면서도 반응성 유지가 가능한 세포 모방형 ... | |||
연구내용 (요약) |
1차년도 (2020): 하이드로젤 마이크로캡슐 설계 및 투과특성 제어▶ 가교도, 전하, 극성 조절이 가능한 하이드로젤 소재 시스템 확보▶ 유리 모세관 기반 초정밀 다상 액적 형성 기술 확보▶ 물-물 상분리 기반 물/물/오일 이중액적을 이용한 캡슐 설계▶ 오일 용해성 젤 전구체 기반 물/오일/물 이중액적을 이용한 캡슐 설계▶ 마이크로캡슐의 라벨링 (label... | |||
기대효과 (요약) |
▶ 세포 모방형 캡슐은 타겟 물질을 캡슐화하면서도 동시에 외부 환경과의 물질 교환이 가능한 플랫폼으로 미세반응기 및 캡슐형 센서를 포함하여 인공 세포체 구현, 세포 면역격리 시스템 구현, 서방향 및 자극 민감형 약물 전달체 등 다양한 응용이 기대되는 기반 소재임▶ 초미세 반응기는 단일 및 다중 효소 반응이 체내와 유사한 환경에서 활성 저하 없이 지속적인 일어나도록 ... |
과학기술표준 연구분야 |
화공 · 고분자 공정기술 · 복합재료 제조공정기술 화공 · 나노 화학공정기술 · 나노복합재 제조기술 |
|||
---|---|---|---|---|
과학기술표준 적용분야 | 제조업(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 |||
부처자체분류 |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자지원사업·(유형1-2)중견연구 | |||
6T관련기술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총연구비(단위:원) | |||
---|---|---|---|
년도 | 정부연구비 | 민간연구비 | 소계 |
2021 | 196,000,000원 | 0원 | 196,000,000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