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조회

과제정보 상세조회

과제 상세정보

사업명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내역사업명 (유형1-2)중견연구
과제명 국문 장-뇌축 상호작용에 의한 신경병증성 통증 및 뇌기능 조절 연구
영문 Regulation of neuropathic pain and chronic pain-associate brain dysfunctions via gut-brain axis
과제기준년도 2021 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제관리(전문)기관 한국연구재단 과제수행기관 서울대학
연구책임자 이성중 연구개발단계 기초연구
연구수행주체 대학 지역 서울특별시 관악구
과제고유번호 1711144523 (기관)세부과제번호 2019R1A2C2087493
총연구기간 2019-09-01 ~ 2022-02-28 당해 연도 연구기간 2021-03-01 ~ 2022-02-28

키워드 한글 신경병증성 통증, 미생물총, 장-뇌축, 인지기능, 정서, 신경교세포, 소교세포, 말초신경손상
영문 neuropathic pain, microbiome, gut-brain axis, cognitive function, affective function, astrocyte, miroglia, nerve injury
연구목표
(요약)
... 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1) 말초신경 손상에 의한 신경병증성 통증 마우스에서 장내 미생물총 프로파일 변화 분석을 통한 조절균주를 발굴하고, 2) 신경병증성 통증 및 통증동반 뇌기능(정서 및 인지)을 조절하는 장내 미생물유래 대사산물을 발굴하고, 3) 미생물 대사산물에 의한 통증/뇌기능(정서 및 인지) 조절의 분자세포기전을 규명 하는 것을 최종 연구목표로 한다.
연구내용
(요약)
... vivo에서 검증함.(3) 3차년도(2021)■ 장내 미생물 대사산물에 의한 통증/뇌기능 조절 분자세포 기전 규명연구내용 및 범위1) 통증과민화 연관 장내 미생물 대사산물의 뇌척수 영향 in vivo ... 영역(뇌 및 척수 조직) 슬라이스 상에서 전기생리학적 연구 기법을 통해 미생물 대사산물이 신경회로 시냅스전도 및 가소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3) 장내 미생물 대사산물에 의한 신경교세포 기능 ...
기대효과
(요약)
... 바탕으로 한 향후 통증연구에 획기적인 장을 열게 되리라 기대함.- 장내 미생물/대사산물에 의한 신경병증성 통증 및 뇌기능 조절을 검증하는 본 연구는,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를 위한 새로운 세포/분자 타겟을 제시할 수 있음.-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미생물 대사산물에 의의 우울증, 불안 및 인지 장애 조절이 실험을 통해 검증 될 경우, 이 대사산물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개념의 ...

과학기술표준 연구분야 생명과학 · 발생/신경생물학 · 신경질환생물학
생명과학 · 발생/신경생물학 · 신경 생화학/생리학
과학기술표준 적용분야 지식의 진보(비목적 연구)
부처자체분류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자지원사업·(유형1-2)중견연구
6T관련기술 뇌신경과학 연구

총연구비(단위:원)
년도 정부연구비 민간연구비 소계
2021 200,000,000원 0원 200,000,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