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조회

과제정보 상세조회

과제 상세정보

사업명 집단연구지원(R&D)
내역사업명 기초연구실후속연구
과제명 국문 식물뿌리체계 조절 펩타이드 호르몬 및 유전자네트워크 기초연구실
영문 BRL of Peptide Hormones and Gene Networks Regulating Plant Root Architecture
과제기준년도 2021 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제관리(전문)기관 한국연구재단 과제수행기관 전남대학
연구책임자 김정묵 연구개발단계 기초연구
연구수행주체 대학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과제고유번호 1711130430 (기관)세부과제번호 2020R1A4A2002901
총연구기간 2020-03-01 ~ 2023-02-28 당해 연도 연구기간 2021-03-01 ~ 2022-02-28

키워드 한글 애기장대, 식물뿌리발달, 측근발달, 식물펩타이드호르몬, 펩타이드호르몬 신호전달, 유전자조절네트워크, LRR-세포막수용체
영문 Arabidopsis, Plant root development, Lateral root development, Plant peptide hormones, Peptide hormone signaling, Gene regulatory networks, LRR-receptor kinase, Plant hormone auxin
연구목표
(요약)
식물발달은 연속적이고 동적인 과정으로서 유전자와 분자로부터 세포와 조직 등이 여러 규모에서의 네트워크상에서 상호작용하여 이루어진다. 본 BRL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중 . 장기적인 연구목적은 ... 식물과 환경과의 상호작용 및 조절기능을 이해 하고자 하며 핵심 분자 알고리즘의 재설계에 의한 합성 네트워크의 구축과 네트워크 조절의 기반 지식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식물의 뿌리체계는 식물을 ...
연구내용
(요약)
(1) 신규 발굴한 signaling peptides의 측근발달과정에서의 생물학적 기능 및 세포 신호전달 연구-PIP1, PIP2 signaling peptides의 측근발달과정에서 기능 연구 및 하부 세포 신호전달 구성성분 유전자 발굴, CEP15 signaling peptide 유전자생물학적 기능 및 저온 스트레스 하에서의 측근발달 제어 역할 연구. (2) ...
기대효과
(요약)
최근 새로운 연구 분야로 대두되고 있는 peptide hormone signaling 및 전사 조절 유전자 네트워크의 식물 뿌리체계를 결정하는 주요 인자인 측근의 발달 조절과정에서의 역할이 체계적으로 확립되고, 식물과 환경과의 상호작용 및 조절기능이 분자 네트워크상에서 해명된다. 식물발달 및 외부 스트레스를 반응을 조절하는 전사인자 유전자들의 기능 규명에 의한 ...

과학기술표준 연구분야 생명과학 · 기타생명과학 · 달리 분류되지 않는 생명과학
생명과학 · 분자세포생물학 · 유전자 발현조절
생명과학 · 유전학/유전공학 · 달리 분류되지 않는 유전학/유전공학
과학기술표준 적용분야 지식의 진보(비목적 연구)
부처자체분류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기초연구실지원사업·기초연구실후속연구
6T관련기술 기타기초·기반기술

총연구비(단위:원)
년도 정부연구비 민간연구비 소계
2021 500,000,000원 0원 500,000,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