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조회

과제정보 상세조회

과제 상세정보

사업명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내역사업명 중견후속연구(연평균연구비 1억원 이내)
과제명 국문 다양한 전극 반응에 대한 전극 활성의 미세 조정
영문 Fine-tuning of the electroactivity for various electrode reactions
과제기준년도 2021 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제관리(전문)기관 한국연구재단 과제수행기관 이화여자대학
연구책임자 이영미 연구개발단계 기초연구
연구수행주체 대학 지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과제고유번호 1711128785 (기관)세부과제번호 2020R1A2B5B01001984
총연구기간 2020-03-01 ~ 2023-02-28 당해 연도 연구기간 2021-03-01 ~ 2022-02-28

키워드 한글 전극 반응, 전극 활성 미세 조절, 전자 전달, 전극 활성 물질, 미세 구조 조절, 밀도범함수이론 계산, 전극 활성 자
영문 Electrode Reaction, Fine-tuning of Electroactivity, Electron Transfer, Electroactive Material, Microstructure Control, DFT Calculation, Analysis of Electroactive-site, Electrochemical Sensor
연구목표
(요약)
... 전극반응에의 전극 활성을 미세 조정하는 방법을 도출하는 것이다. 화학에너지와 전기에너지 간의 상호 변환 과정에 반드시 거쳐야 하는 전극반응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는 전지, 전기분해를 통한 물질 합성, 전기화학센서 등 에너지 변환이 필요한 여러 응용 분야의 실질적인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전극 물질의 조성, 미세구조에 따른 다양한 전극반응의 특성 변화 분석과 동시에 반응 중간체, ...
연구내용
(요약)
... 전극반응에 맞는 미세 전극활성 조정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1) 귀금속, 전이금속, 비금속의 혼성을 이용하여 그 산화가 조절을 통해 다양한 구조, 조성의 전극물질 합성: 전착, 화학기상증착, 전기방사, 자발적 치환반응 등의 독립적 방법과 이 방법들의 혼합을 사용하여 합성; 전구체와 용매의 농도, 조성 등을 조절하여 합성된 전극물질의 조성, 미세구조 변화시킴; ...
기대효과
(요약)
... 연구의 주된 연구주제인 다양한 전극반응에 대한 근본적 이해는 전지, 전기화학반응을 통한 물질 합성, 전기화학센서 등 에너지 변환이 필요한 여러 응용 분야의 실질적인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 바이오센서 개발에 적용하여 이 센서로 살아있는 생물에서의 중요 생체물질 분석에 적용하는 연구는 생물학적 기본 기전 및 질병 기전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질병예방 ...

과학기술표준 연구분야 화학 · 전기화학 · 분석전기화학
화학 · 전기화학 · 생전기화학
화학 · 전기화학 · 에너지 변환/저장 전기화학
과학기술표준 적용분야 건강 · 제조업(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부처자체분류 중견연구자지원사업·중견후속연구·중견후속연구(연평균연구비 1억원 이내)
6T관련기술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총연구비(단위:원)
년도 정부연구비 민간연구비 소계
2021 94,809,000원 0원 94,809,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