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조회

과제정보 상세조회

과제 상세정보

사업명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내역사업명 중점연구소지원(이공계분야)
과제명 국문 생체분자제어연구소
영문 Multiscale study of biomolecule control and function
과제기준년도 2020 부처 교육부
과제관리(전문)기관 한국연구재단 과제수행기관 성균관대학교
연구책임자 조재열 연구개발단계 기초연구
연구수행주체 대학 지역 서울특별시 종로구
과제고유번호 1345315487 (기관)세부과제번호 2017R1A6A1A03015642
총연구기간 2017-06-01 ~ 2026-02-28 당해 연도 연구기간 2020-03-01 ~ 2021-02-28

키워드 한글 생체 소재, 시간, 공간, 생체분자 컨쥬게이트, 멀티스케일, 생명현상체, 시공간, 효능평가
영문 biomolecule, time, space, biomolecule conjugate, multiscale, biophenome, spatiotemporal, efficacy test
연구목표
(요약)
?단백질, 핵산, 지질 등의 생체분자와 이들 유도체가 보이는 거동 행태 및 이들이 일으키는 생명현상을 시간적 멀티스케일과(밀리세컨드-수개월) 공간적 멀티스케일(분자-조직 및 나노-매크로) 수준에서 관찰함으로써 시공간적 생명현상체(spatiotemporal biophenome) 정보를 획득하고자 함. ?생물의약 산업 분야에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생체분...
연구내용
(요약)
... 기반 구축 ?연구 대상 생체분자 선정 ?암 및 염증 조절 분자 기전을 연구하고 표적 생체 분자를 발굴함. ?단백질 설계/합성 및 구조-기능 상관관계 연구하고 생체분자 컨쥬게이션 기반기술을 개발함. ?10nm 수준의 분자에서부터 세포, 1cm 단위의 조직까지 세 가지 스케일로 이미징하는 공간적 멀티스케일 이미징할 뿐만 아니라 10ms 수준에서 1달간의 생리적 ...
기대효과
(요약)
... 시공간적 생명현상체(spatiotemporal biophenome)을 통합적으로 관찰하는 기술의 개발이 가능하며, 생명공학 기술의 패러다임 전환 ?펩타이드, 지질, 천연물 소재 등의 유도체 합성 및 자기조립을 통한 소재화 기술 확보 및 이를 통한 생체분자소재의 향상된 생분배 및 목표지향성을 추구함. ?단백질의 안정성 및 수용성의 신속한 향상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단백질 의약품의 바...

과학기술표준 연구분야 생명과학 · 융합바이오 · 바이오이미징
보건의료 · 의생명과학 · 분자세포생물학
생명과학 · 생물공학 · 세포/조직공학
과학기술표준 적용분야 지식의 진보(비목적 연구) ·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 건강
부처자체분류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중점연구소지원(이공계분야)
6T관련기술 단백질체 연구

총연구비(단위:원)
년도 정부연구비 민간연구비 소계
2020 799,403,000원 50,000,000원 849,40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