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로그인 안내 팝업창
계속 이용하시려면 재로그인 해주세요.
보도일 | 2025-03-13 | 조회수 | 7 |
---|---|---|---|
언론사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출처(링크) | URL 바로가기 |
주제(태그) | #국가전략기술#투자#기술패권#첨단 생명과학 | ||
첨부파일 |
|
국가전략기술 육성에 ‘25년 6.8조 원 투자 및 기술패권 경쟁 주도권 확보에 집중
- 22개 부·처·청 합동, 「제1차 국가전략기술 육성 기본계획(’24~’28) ’25년 시행계획」 확정
- 금년 12대 분야 투자에 6.8조원(비연구개발 0.4조원 포함), 내년에도 투자 지속 확대
- 국가전략기술 성과 확산을 위한 신속사업화·신흥핵심기술 대응체계 고도화를 위한 정책역량 결집(AIM at CETs*)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는 3월 12일(수) 14시 ‘국가전략기술 특별위원회’(위원장 : 류광준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이하 ‘전략기술 특위’) 제10차 회의를 열고, 국가전략기술* 육성을 위한 범부처 차원의 연간 추진과제를 담은「제1차 국가전략기술 육성 기본계획(’24~’28) ’25년 시행계획」을 의결하였다.
* (12대 분야)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첨단 이동수단(모빌리티), 차세대 원자력, 첨단 생명과학(바이오), 우주항공·해양, 수소, 사이버보안, 인공지능, 차세대 통신, 첨단로봇·제조, 양자
국가전략기술 육성 기본계획은「국가전략기술 육성에 관한 특별법」(이하 ‘특별법’)에 근거한 중장기 정책으로서, “과학기술 주권국가, 초격차 대한민국”을 이상으로 22개 부·처·청이 함께 수립하였다. 이에 따라 올해 최초로 마련된 ’25년 시행계획은 인공지능 전환 가속화 및 융복합 강화, 미국 트럼프 정부의 과학기술 정책방향 전환, 중국의 과학기술 추격 등 최신 과학기술 동향을 반영하여 구체적 정책과제를 설정하였다.
특히, ➊기술패권 경쟁이 정부는 물론 산업계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고려하여 사업화·기업연계를 촉진하며, ➋국가전략기술 대응체계를 기민하게 고도화하고, ➌임무중심적 투자 강화를 통해 성과창출을 본격화하는 등 ‘국가전략기술 육성에 목록
이전글 | ’25년 지역 과학기술 혁신을 위해 전년 대비 10% 증가한 6.6조 원 투자 |
---|---|
다음글 | 미래 사회 사고체계(패러다임)를 바꾸는 「10대 유망 융합신기술」 발굴·집중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