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요뉴스 상세

미래 사회 사고체계(패러다임)를 바꾸는 「10대 유망 융합신기술」 발굴·집중 지원!
이 게시물의 이전글, 다음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보도일 2025-03-13 조회수 11
언론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원출처(링크) URL 바로가기
주제(태그) #융합신기술#미래의료#제론테크#뉴럴링크
첨부파일
첨부파일

 미래 사회 사고체계(패러다임)를 바꾸는 「10대 유망 융합신기술」 발굴·집중 지원!

- 민・관 합동의 제1차 「융합연구 혁신전략위원회」 개최

- 융합지수 분석 소개 및 100대 후보기술분야 공유, 추진 방안 논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이하 과기정통부’)는 정부와 연구계가 참여하여 미래사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융합신기술 발굴을 위한 1 융합연구 혁신전략위원회를 3월 12(그랜드센트럴 서울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2008년부터 과기정통부는 융합연구 대표사업인 미래개척융합과학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기술 간 융합을 활성화하는 한편융합문화가 국가 연구개발 전반에 뿌리깊게 자리 잡도록 노력해 왔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미래융합전략센터가 논문특허 자료를 바탕으로 국가별 융합지수를 측정분석한 결과에 따르면주요 선진국 총 15개국 중 한국은 2008년도 15에서 2023년 8융합연구가 활성화되고 국제적 수준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배경에서 융합연구 확산을 넘어 융합연구를 통해 신기술신시장 개척과 미래사회 사고체계(패러다임)를 바꾸고자 출범하게 된 융합연구 혁신전략위원회 민과 관이 함께 머리를 맞대고10대 유망 융합신기술를 선제적으로 발굴하여 융합연구 방향을 논의하는 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금번 회의에서는 정부 및 연구관리 전문기관과 함께다년 간 융합연구 및 정책 수립에 참여해온 연구계 인사들이 참여하여10대 유망 융합신기술」 발굴 취지 및 100대 후보기술 분야를 공유하고 추진 방안을 논의하였으며참석자들은 융합연구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서 이종 간 융합연구·기술 동반상승 효과를 기본으로 미래 기술·산업 사고체계(패러다임) 바꿀 수 있는 융합신기술 분야 발굴” 필요성에 공감하였다.

국제 논문·특허 동향 분석과 연구자 수요를 기반으로 도출된 100 후보기술로는 자율로봇공학(자율로보틱스/인공지능 인간형 로봇<휴머노이드로봇>, 생체모사 소프트로봇)미래에너지(에너지하베스팅코스모배터리)미래의료(제론테크뉴럴링크)차세대소재(메타물질, 다이나믹머터리얼)인공지능정보통신(코사이언티스트뉴로모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