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로그인 안내 팝업창
계속 이용하시려면 재로그인 해주세요.
보도일 | 2025-02-20 | 조회수 | 11 |
---|---|---|---|
언론사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출처(링크) | URL 바로가기 |
주제(태그) | #정부#연구개발#투자방향#공청회 | ||
첨부파일 |
|
당신의 목소리가 미래를 만듭니다. ’26년 정부 연구개발 투자방향 공청회 개최
- 공청회 의견을 바탕으로 ’26년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 수립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는 2월 19일(수) 오후 2시, 2026년도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이하 ‘’26년도 투자방향(안)’) 마련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과학기술기본법에 따라 매해 수립하는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은 차년도 정부 연구개발(이하 ‘R&D’) 예산이 투자될 분야와 방향을 제시하는 기준으로, 향후 정부 연구개발 예산 배분·조정의 지침으로 활용된다.
이번 공청회는 ’26년도 투자방향(안) 수립에 앞서 산업계, 연구계, 학계 등 연구자들과 국민들의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로, 의견수렴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온오프라인 방식을 병행하여 개최되며 과기정통부 생중계 지원 온라인 체제 기반(플랫폼) 또는 공식 누리집을 통해 시청이 가능하다. 또한, 국민 누구나 공식 누리집 게시판을 통해 의견을 개진할 수 있다.
◈ (참고) 온라인으로 공청회 참여방법
➊ 유튜브(Youtube) 접속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또는 투자방향 검색
➋ 공청회 공식 누리집(http://www.rnd2026.com) 접속
※ 공청회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과기정통부 또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누리집 참고 |
특히, ’26년 투자방향 공청회는 정부 연구개발 투자와 관련하여 주요 의제를 제시하고, 의제와 관련한 다양한 생각과 의견을 논의하는 ‘현장·연구자 참여 토론회를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26년도 투자방향(안)’은 관계부처의 투자우선순위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마련하고 있으며, 간담회 등을 통해 수렴된 연구계와 산업계의 의견도 폭넓게 반영하고 있다. 투자방향(안)에 제시된 중점투자방향은 다음과 같다.
【 3대 분야 9대 중점투자방향(안)* 】
[1] 과학기술 혁신으로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겠습니다!
❶ 인공지능, 첨단 생명과학(바이오), 양자 등 차세대 성장동력으로서 미래 산업의 판도를 바꿀 혁신적 국면 전환 요소(게임체인저) 기술에 집중 투자
❷ 공공기술 사업화, 기업연구개발(R&D) 등 민·관 협업을 통한 규모확대(스케일업) 투자를 강화하여 신산업 창출 가속화
❸ 기초연구, 출연연 거점육성 등 지식의 발견과 축적을 지원하여 성장을 위한 국가 기초체력 증진
[2] 첨단산업·안보를 지키는 과학기술 주권을 확립하겠습니다! |
이전글 | 국가 전략기술부터 미래 유망·기반 기술까지 세계 최정상(글로벌 TOP) 전략연구단 21개 후보 본격 평가 돌입 |
---|---|
다음글 | 해외 과학기술 인재 유치 활성화를 위해 유치기관과 지원기관이 머리 맞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