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로그인 안내 팝업창
계속 이용하시려면 재로그인 해주세요.
보도일 | 2025-02-21 | 조회수 | 10 |
---|---|---|---|
언론사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출처(링크) | URL 바로가기 |
주제(태그) | #국가전략기술#전략연구단#국가전략형#미래도전형 | ||
첨부파일 |
|
국가 전략기술부터 미래 유망·기반 기술까지 세계 최정상(글로벌 TOP) 전략연구단 21개 후보 본격 평가 돌입
- 2.11.(화)~13.(목) 3일간 ‘국제 최정상(글로벌 TOP) 전략연구단 지원사업’ 제안서 평가 실시
- 77개 제안서 중 국가전략형 11개, 미래도전형 10개, 총 21개 제안서 선정
- 선정 시 연구개발계획서별 심층 평가 및 보완 자문 실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와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이사장 김영식, 이하 NST)는 2025년도 ‘세계 최정상(글로벌 TOP) 전략연구단 지원사업’ 제안서 평가 결과 총 21개의 제안서가 선정되었으며, 해당 제안 임무에 대한 심층 평가 및 컨설팅을 수행하기 위해 2.20.(목) 연구개발계획서 공고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제안서 공고·접수 | ➡ | 제안서 평가 | ➡ | 연구계획서 공고·접수 | ➡ | 연구계획서 1차 평가 | ➡ | 보완 자문 | ➡ | 연구계획서 2차 평가 |
지난 2.11.(화)~2.13.(목) 3일간 이루어진 제안서 평가에서는, 국가전략형 32개, 미래도전형 45개, 총 77개 제안서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졌다. 평가위원으로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 기업 최고기술경영자(CTO), 지도자급(리더) 연구자, 기술분야별 학회 임원 등 산·학·연 전문가 63인이 참여하였으며, 금년도부터 분류된 세부 유형(국가전략형, 미래도전형)별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제안 연구 주제에 대한 국가적 필요성·탁월성, 성과에 대한 국민적 체감 가능성, 수행 체계의 혁신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 양자, 반도체, 첨단생명과학(바이오), 로봇, 청정에너지, 연구기반(인프라), 건설·교통 등 과학기술 전 분야를 아울러, 국가적 역량을 결집해 연구개발을 추진할 필요가 있는 21개의 후보 주제를 선정하였다.
※ 전략연구단명및 총괄주관기관(참여기관은 연구계획서 평가 및 보완자문 과정에서 변동 가능성 있어 제외), 상기 전략연구단 순서는 제안서 평가 순위와 무관함
제안서 평가에 참여한 평가위원들은 “이번 세계 최정상(글로벌 TOP) 전략연구단 제안서 평가에서 선정된 과제들은 단순한 연구만을 위한 과제가 아닌 명확한 성과물을 목표로 하고 있어 5
이전글 | ‘중·장기 정책에 근거한 연구개발 투자’ 강화 |
---|---|
다음글 | 당신의 목소리가 미래를 만듭니다. ’26년 정부 연구개발 투자방향 공청회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