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요뉴스 상세

과기정통부, 첨단 연구장비 정책과 기술혁신의 중심지 「혁신연구개발(R&D)장비기술정책센터」출범
이 게시물의 이전글, 다음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보도일 2025-03-26 조회수 7
언론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원출처(링크) URL 바로가기
주제(태그) #연구장비#혁신연구개발#R&D
첨부파일
첨부파일

과기정통부첨단 연구장비 정책과 기술혁신의 중심지

혁신연구개발(R&D)장비기술정책센터출범

- 과기정통부혁신연구개발(R&D)장비기술정책센터」 개소식 개최(3.25.)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유상임 장관이하 '과기정통부')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호성 원장이하 표준연’) 연구장비산업 발전을 위하여 연구개발 장비 정책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첨단 연구기반시설 생태계의 혁신을 주도할 혁신 연구개발(R&D)장비기술정책센터’(이하 정책센터’)를 3월 25(표준연 내에 설립한다고 밝혔다.

 

이날 개소식에는 황판식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이 참석하여 연구장비 수요-공급 ··연 관계자 20여 명과 국가 연구개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센터의 역할과 미래 발전 전망을 공유했다.

 

정책센터는 그간 분산됐던 국내 연구장비 분야의 정책기획과 중장기 기술개발 지원을 일원화하고세계적 연구기관과의 기술 교류 및 협력을 확대하기 위해 설립되며 다음의 역할을 주로 수행한다.

 

첫째국가 연구개발 장비 정책의 고도화를 지원한다. 연구개발 장비기술 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국가 전략 기술별(반도체이차전지첨단생명과학<바이오> ) 중장기 이행안을 수립하고첨단 연구장비 개발 가속을 위한 혁신 연구개발 사업을 기획하는 등 장비기술 정책의 종합적인 발전 기반을 마련한다.

 

덧붙여 올 하반기까지 과기정통부가 추진하는 '국산 연구장비산업 발전 전략' 수립 지원하고, 2026년부터 본격적인 정책지원 및 산업육성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둘째연구장비 생태계 구축을 위한 국내외 관계망을 구축한다전략기술별 연구개발 장비 분야 최고의 국내외 산···관 전문가들로 자문단 구성하는 등 기술이전 및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수요자(대기업) 주도형 기술공급 협력 관계망을 구축하고세계 선도 연구기관들과의 전략적 기술 교류·협력을 강화하는 국제 연구개발 장비 연합체(글로벌 R&D장비 얼라이언스) 구축할 계획이다구축된 관계망을 바탕으로 수요기업(대기업) 중심의 국내외 기술 공급자-수요자 연결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우수 연구장비 공공기술의 산업화를 촉진할 예정이다.

 

셋째정책센터 활동 등 성과확산을 통해 연구장비산업 저변 확대 기반 마련한다국내외 전시회·학술회의를 통해 연구성과를 홍보하고 정기적으로 '연구장비산업 동향보고서'를 발간하여 산업 현황분석과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등 국가 연구개발 장비산업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할 것이며첨단 연구장비 통합 정보체계 구축을 통해 국내외 연구장비 기술·정책 동향, 투자 현황 등 관련 정보를 온라인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이러한 정책센터의 역할을 통해 전략 기술별 연구개발 장비 수요를 반영한 종합적 미래 기술 전략을 수립하고 연구기관·대학·기업 등 다양한 주체가 체계적으로 혁신적인 연구장비를 개발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이에 정부도 정책센터가 연구개발 장비산업의 지휘본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정책적으로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이다.

 

과기정통부 황판식 연구개발정책실장 "연구장비산업은 국가 전략기술의 성공을 뒷받침하는 핵심 산업"임을 강조하며 "반도체이차전지첨단생명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