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요뉴스 상세

“과기정통부, 연구개발특구 내 AI 확산 본격 추진”
이 게시물의 이전글, 다음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보도일 2025-09-26 조회수 7
언론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원출처(링크) URL 바로가기
주제(태그) #연구개발특구
첨부파일
첨부파일

“과기정통부, 연구개발특구 내 AI 확산 본격 추진”

- 특구 내 AI 기업 육성을 위한 AI 글로벌 빅테크 육성 사업(’25년 1차 추경) 본격 추진

- 연구성과혁신관 주재 연구개발특구 내 AI 확산을 위한 현장 간담회 추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 이하 ‘과기정통부’)가 각 지역의 다양한 특화분야를 중심으로 지원해오던 연구개발특구 내에 본격적인 AI 확산을 추진한다.


 과기정통부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사장 정희권, 이하 ‘특구재단’)은 9월 25일(목), 14시 30분에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하 ‘ETRI’) 융합기술연구생산센터에서 「연구개발특구 AI 확산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는 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AI 확산 방안을 모색하고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과기정통부 연구성과혁신관 주재로 ’25년 1차 추경을 통해 신규 추진하고 있는「AI 글로벌 빅테크 육성사업」에 참여중인 AI 분야 기업인 및 연구자 30여 명이 참석하였다.


< AI 글로벌 빅테크 육성 사업 개요 >

 

• (사업목적) 연구개발특구 내 공공 연구기관이 보유한 인공지능(AI) 연구성과를 활용하여 세계적 수준의 인공지능 분야 혁신기업 육성

 

• (’25년 사업예산) 총 10,000백만원

 

• (지원분야) 정책지원형(1개 과제/625백만원)경쟁형 R&BD(15개 과제/9,375백만원)


 동 행사는 ㈜블루타일랩 현장 방문으로 시작했다. ㈜블루타일랩은 반도체 후공정 검사 솔루션 전문기업으로, ETRI와 KAIST로부터 기술 이전을 받아 동 사업을 통해 “3D 패키징 후공정 혁신을 위한 AI 융합 지능형 광학 검사·제어·인터랙션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기업이다.


 현장에서는 극초단파 레이저 및 광학현미경 시제품 등이 소개되었으며, 동 사업 지원으로 향후 5년간 AI 검사장비 매출액 약 500억 원, 향후 3년간 기업 투자 유치 약 300억 원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어서 ETRI로부터 융합기술연구생산센터 내 스타트업 시제품 제작 지원 인프라, ICT 융합 테스트베드, 스타트업 기술 상담 프로그램 등에 대한 소개가 있었다.


 자리를 옮겨 진행한 간담회에서는 과기정통부에서 연구개발특구 내 AI 분야 전략적 지원, AI 분야 기업의 전주기 성장 지원 등의 정책 방향을 공유했다. 또한, 'AI 글로벌 빅테크 육성사업'의 정책지원형 주관기관인 글로벌오픈파트너스에서는 AI-X 핵심기술 확보부터 사업화까지 AI 전문기업 육성 프로그램과 혁신 주체 간 네트워킹 등의 지원 계획을 발표했다.


 경쟁형 R&BD 주관기관인 ㈜나니아랩스와 ㈜바스젠바이오의 사업화 계획 발표도 이어졌다. ▲㈜나니아랩스는 생성형 AI를 활용한 자율 AI 설계솔루션 기업으로 제조업 특화 노코드 AI 플랫폼으로 KAIST 14대 미래선도기술 대표 연구성과로 선정된 바 있으며, 동 사업을 통해 '제조업 혁신을 위한 Agentic AI 기반 자율 설계 플랫폼 개발'을 추진하여 ’27년에는 IPO를 준비할 계획이다. ▲㈜바스젠바이오는 127억 원 이상의 누적 투자를 유치한 AI 기반 바이오 빅데이터 전문기업으로 동 사업에서 'AI를 활용한 임상시험 시뮬레이션 솔루션 사업화'를 추진하며 내년 기술특례 상장을 기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엠에스아이랩스, 제이엔이웍스, 케이쓰리아이, KISTI, KAIST, ETRI 등 전문가들과 함께 AI 확산 및 기업 성장 지원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되었다.


 과기정통부 이은영 연구성과혁신관은 "AI는 하나의 기술 분야를 넘어 전 산업에 적용되어 국가 경쟁력을 결정할 중요한 분야"라고 강조하며, "연구개발특구의 역량을 결집해 AI 전환과 확산을 지속 지원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