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로그인 안내 팝업창
계속 이용하시려면 재로그인 해주세요.
보도일 | 2025-09-25 | 조회수 | 4 |
---|---|---|---|
언론사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출처(링크) | URL 바로가기 |
주제(태그) | #양자과학기술#대형과학#미국#첨단기술 | ||
첨부파일 |
|
과기정통부 배경훈 장관, 한미 양자기술-대형과학 기반시설(인프라) 협력 가속화 추진
- 뉴욕 IBM 왓슨 연구소 방문 : IBM과 양자과학기술 산업 육성 협력 양해각서(Mou) 체결 및 세계적 기업·석학과 양자기술 미래 논의
- 미국 에너지부 산하 브룩헤이븐 국립연구소 방문 : 핵물리 등 기초연구와 함께 인공 지능·양자 등 첨단기술 협력 심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 이하 ‘과기정통부’) 배경훈 장관은 블랙록(회장: 래리 핑크-세계경제포럼(WEF) 의장 겸직)과의 협력 양해각서* 체결을 계기로 현지시간 9월 22일(월)부터 23일(화)까지, 미국 뉴욕을 방문해 한·미 간 산학연 양자기술 협력방안을 본격적으로 논의하였다.
* 인공 지능 및 재생에너지 기반 시설(인프라) 개발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
① 세계적 선도기업 IBM 왓슨 연구소 방문
9월 23일(현지시간), 배경훈 장관은 뉴욕 IBM 왓슨 연구소*를 방문해 IBM과 양자과학기술 산업 육성을 위한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하였다. 이번 양해각서(MOU)에는 한국연구재단, 국가과학기술연구회, 4대 과기원이 공동 참여하였다.
* IBM의 연구개발 본부로서 인공지능, 양자컴퓨팅, 반도체 등 첨단 정보기술 분야의 혁신적 연구를 주도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산업 연구기관
주요 협력 내용은 ▲양자 기반시설(양자인프라) 구축 및 서비스 제공 ▲연구개발 및 산업 활용 ▲전문인력 양성 및 역량 강화 등 3대 분야이다. 이를 통해 양자컴퓨터 기반 시설(인프라) 구축과 연구개발 센터를 설립하여 산업별 응용 가능성을 발굴하고, Qiskit 기반 양자 전문인력 양성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어 열린 간담회에는 IBM 제이 갬베타(Jay Gambetta) 부사장, 모더나 웨이드 데이비스 최고기술책임자(CTO), 올스테이트 진 우트키 기술 전문가(테크니컬 디랙터, TD), 코넬대 김은아 교수 등 세계적 기업‧학계 전문가들이 참석해 양자기술의 미래 활용 가치와 협력 방향을 논의했다.
② 브룩헤이븐 국립연구소 방문
9월 23일(현지시간), 배경훈 장관은 미국 에너지부 브룩헤이븐 국립연구소를 방문하여 현재 논의 중인 기초 대형인프라(전자-이온 충돌기, EIC*) 협력 관련 시설을 시찰하고 이를 기반으로 인공 지능, 양자 등 첨단기술 분야로 협력을 확장하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브룩헤이븐 국립연구소는 7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고, 핵물리와 소재과학 분야의 대형 연구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에너지부에서 지원하는 5개의 양자정보과학센터*** 중 하나를 운영하고 있다.
* 전자-이온 충돌기(Electron-Ion Collider) : 원자핵 구성 기본입자인 양성자와 중성자의 질량 및 쿼크와 글루온의 특성 이해를 위한 핵물리 분야 가속기 국제공동 사업(프로젝트)(2030년대 중반 완공 예정)
** 상대론적 중이온 충돌기(Relativistic Heavy Ion Collider) : 기존 핵물리 연구시설로 ’25년까지 운영되며, 전자-이온 충돌기 사업(EIC 프로젝트) 일환으로 곧 성능 향상(업그레이드) 예정
국립 싱크로트론 광원 Ⅱ(National Synchrotron Light Source Ⅱ) : 태양보다 약 100억 배 밝은 싱크로트론 빔을 생성하는 시설
*** 국립 양자정보과학 연구센터(National Quantum Information Science<QIS> Research Centers) : 양자 컴퓨팅, 통신, 감지(센싱) 및 재료 분야의 첨단 연구와 기술 개발 지원
브룩헤이븐 국립연구소의 핵심 연구진은 인공 지능·양자 기술을 활용한 연구혁신 사례를 공유하고, 배 장관과 함께 양자, 가속기 등 관련 연구시설을 둘러보았다. 이어 배 장관은 한국의 정부출연연구소를 소개하며 양국의 국립연구소 간 협력 중요성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하였다.
양측은 전자-이온 충돌기 사업(EIC 프로젝트)을 시작으로 신흥 인공 지능·양자 기술을 다양한 기초연구 분야에 적용하여 협력 확대를 모색하고자 한다. 나아가 정부 간 협력 기반을 공고히 하기 위해 미국 에너지부와 과학기술 협력에 관한 이행약정(IA, Implementing Arrangement)와 정부 간 협력의향서(SOI, Statement of Intent) 체결을 논의 중이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25년은 양자과학기술 100주년으로 국제연합(UN) 총회에서 선포(’24년)한 ‘양자과학의 해’로 양자과학기술은 인공 지능, 신약개발, 금융, 보안 등 모든 산업에서 새로운 사고 체계(패러다임) 혁신을 초래할 것이다.”라며, “현재 양자과학기술분야 최일선에 있는 미국과의 협력이 중요한 상황으로 이번 방미에서 IBM과 국내 산학연 간 인재, 기술, 기반 시설(인프라)에서 상호보완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성과가 있었다.”고 밝혔다. 아울러 “인공 지능·양자 기술을 활용하여 기초연구를 혁신하고 있는 브룩헤이븐 국립연구소와 전자-이온 충돌기 사업(EIC 프로젝트)을 시작으로 인공 지능, 양자 등 첨단기술로의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하였다.”고 부연하였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이전글 | 대한민국, 국제 합성생물학 규범 논의 본격 주도 |
---|---|
다음글 | 주요 21개국(G20)과 함께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국제적 도전 과제 대응 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