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정보 테이블입니다.
기술명,기술분야,기술개요,적용/응용가능분야,보유기관명,파트너링 희망유형,현진행사황,협력조건,기술이전상태
기술명 |
아미노산 서열변화를 통한 호메오단백질 분비물촉진 |
기술분야 |
- 메디컬디바이스
- 메디컬디바이스
|
- 의약품
- 화합물, 바이오, 천연물, 백신, 첨단바이오
|
- 건강기능식품
- 식품, 화장품
|
- 기능성소재
- 의약용, 식품용, 화장품용
|
- 인프라기술/융복합기술
- 핵심/원천기술, 생산기술, 평가/분석기술, 융복합기술
|
기술개요 |
호메오 도메인은 수많은 전사인자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상기 전사인자는 호메오 단백질은 DNA에 결합해 세포가 어떤 신체 부위로 발달할지 운명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짐 또한, 일부 호메오 도메인 함유 단백질 (HP)은 분비되어 이웃 세포를 투과하여 수용자 세포 운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측되는데, 서로 다른 특성을 나타내는 4종의 세포주를 이용해 대규모로 분석한 결과 153개의 호메오 단백질이 세포 외부로 분비돼 주변 세포로 이동함을 입증함. 아울러 호메오 단백질 분비 능력 차이가 외부의 소수성 아미노산 서열 존재 여부와 관련 있다는 점을 확인함. 세포 간 이동이 호메오 단백질의 일반적인 특성이라는 점을 증명함. 호메오 단백질의 분비는 호메오 도메인에만 의존하기보다는 호메오 단백질의 분비는 각 호메오 단백질의 3 차원 구조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호메오 도메인 외부의 소수성 아미노산 잔기에 의해 결정됨. 따라서, 상기 소수성 아미노산 잔기 부위에 대한 돌연변이 또는 번역 후 변형은 호메오 단백질의 분비성을 변화시킬 수있음 |
적용/응용 가능분야 |
1. 호메오 단백질 치료제 타겟 질환 • 세포 재생: 녹내장 (VAX1, BrainEver), 망막색소변성증 (특허 출원 중), 피부(모발 포함) 및 근육 재생 (연구 중) • 세포 사멸 억제: 파킨슨병 (EN2, BrainEver) • 신경 활성 조절: 조현증 (OTX2, BrainEver) 2. 호메오 단백질 분비 세포 연속 배양을 통한 대량 생산 플랫폼 기술 3. 호메오 단백질을 분비하는 세포 이식의 효과 증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