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연구원님들의 함께 정책적 실효성 높은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이를 통해 정책 아젠다를 도출하기 위해 운영하는 원내 정책플랫폼
BICS 로그인공지사항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일정
더보기-
생명연 현장기반 정책이슈발굴 1차 회의
2025-08-11 11:30 ~ 2025-08-11 13:00
행사
더보기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우선순위] 생명연 현장기반 정책이슈발굴 1차 회의 의제 우선순위 투표
- 작성자김서희
- 작성일2025-08-12
안녕하세요, 참석자 여러분
생명연 현장기반 정책이슈발굴 1차 회의에 참석해주신 귀빈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 올립니다.
이번 회의에서 발의된 핵심이슈는 아래와 같았습니다.
이때 각 이슈들의 사회적임펙트, 시급성, 실행가능성(리소스/난이도)을 기준으로 상위 3개의 이슈들을 선택해 주십시오.
추가 발언하고자 하시는 이슈가 있다면 항목을 추가해 주십시오.
① 민감정보 나눠서 다루기(층위화)
→위험한 데이터는 더 엄격히, 덜 위험한 데이터는 덜 엄격히. 예: DNA는 강하게, RNA/단백질은 완화해서 관리.
② 분석 플랫폼 두 갈래로 운영
→민감 데이터는 내부 닫힌망, 익명 연구데이터는 열린망. 코드·결과를 쉽게 주고받게 구조 만들기.
③ 전자 실험노트 자동화(ELN)
→양식 통일하고 장비랑 연결해 자동 기록. 연구자가 직접 타이핑하는 일 최소화.
④ 실패 데이터도 보상(네거티브 데이터 인센티브)
→실패 결과도 익명·보호해 공유하면 평가·보상에 반영. 숨기지 말고 함께 쓰자.
⑤ AI가 쓰기 좋은 표준 만들기(AI-Ready 스키마)
→샘플·방법·배치·품질 같은 공통 메타데이터와 파일형식 표준화. 누구나 같은 형식으로 저장.
⑥ 특화 AI 모델 운영(LLM)
→질문을 넓혀주는 UI, 작업 흐름을 프롬프트로 만들기. 정확도·환각·근거제시 기준 세워 계속 점검.
⑦ 인재 양성(데이터 테크니션 트랙)
→데이터 담당 기술직 채용·교육 트랙 신설, 현장 인력은 업스킬 프로그램 운영.
⑧ 민관·국제 협력
→국내 클라우드/플랫폼사와 공동 운영, UK Biobank 등과 분석 협력·코드 교환.
- 조회수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