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전시 목록 상세보기

전통천연물기반 유전자동의보감사업단

대표자
이도헌(KAIST 바이오뇌공학과 교수)
설립일자
2013-06-25
기관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291한국과학기술원 정문술빌딩 513호
홍보 동영상
홍보 동영상 바로가기
사업분야 및 주요제품/기술
ㅇ 동의보감을 포함한 전통지식을 통해 효능이 경험적으로 알려진 천연물 소재의 인체 내 다중성분-다중표적(MCMT) 작용원리를 시스템 차원에서 규명하는 IT-BT 융복합 원천기술 개발 - (가상인체 소프트웨어 시스템) 유전자 조절, 생체신호전달, 대사 네트워크에 대한 컴퓨터 기반 모델을 개발하고 이러한 모델을 이용하여 소재-단백질-대사물질 네트워크 및 이를 포함한 컴퓨터 기반 인체 수준의 시뮬레이션 기술 탑재 시스템 개발 - (고속 소재 발굴 프로토콜) 천연물의 원하는 효능을 내는 소재의 고속 추출을 위한 프로토콜 개발
홈페이지
홈페이지 바로가기
주요 성과(기술)명
ㅇ 천연물기반 신약개발을 위한 디지털 가상인체(CODA)기술 시연 ㅇ 다중성분 다중분석(MCMT) 효능해석을 위한 3차원 대화형 인체모델 시각화 기술 체험
홍보 브로셔
180312-유전자리플렛(사업내용).pdf    180312-유전자리플렛.pdf    Bio-synergyResearchCenter_Catalog_Small.pdf   
주요 성과(기술) 내용

신약개발을 위한 인공지능 가상인체 시스템(CODA) 개발(1중과제/이도헌/ KAIST)

  - 의미 : 바이오의료분야의 다양한 국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인체 내의 여러 조직/세포 내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인공지능 가상인체 시스템(CODA)을 구축. 이를 활용한 약물 효능 및 약물 기

    전 예측 예시를 보임

  - 활용도 : 약물 효능, 약물 기전, 약물 부작용과 같은 다양한 질병에 대해 약물의 인체 내 작용 예측 가능

약물재창출을 통한 혁신신약 후보물질 개발(3중과제/권병목/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의미 : 암전이 억제 활성이 있는 기존약물을 발견하고, 표적을 발굴 

 - 활용도 :새로운 표적을 대상으로 암전이 억제 활성이 우수하고 경구 투여가 가능한 세계 최초 혁신

   신약(First-in-Class) 전임상 후보물질 창출

    ※ 2건의 기술이전 (계약금 23억, `20.7)

    ※ 국제특허 출원 (미국, 일본, 유럽, 호주, 캐나다, 중국 출원 중)

다중성분 다중분석(MCMT) 효능해석을 위한 3차원 대화형 인체모델 시각화 기술(1중과제/김형석/ 건국대)

 - 의미 : 전통천연물의 효능을 검증하고, 이를 가시화하여 알기 쉽게 표현하며, 보다 많은 사람들이 선택한 반응에 

   참가하는 노드와 엣지의 시각적 요소를 진행 경로에 대한 정보 및 참여 요소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

 - 활용도 : 외국 소프트웨어 의존도가 높은 국내 바이오 분야 소프트웨어 시장에 보다 빠른 시각화를 이용해 국산

   소프트웨어 지분을 확보하는 경쟁력 있는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