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로그인 안내 팝업창
계속 이용하시려면 재로그인 해주세요.
보도일 | 2025-05-21 | 조회수 | 9 |
---|---|---|---|
언론사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출처(링크) | URL 바로가기 |
주제(태그) | #기초연구#질적 고도화 | ||
첨부파일 |
|
기초연구, 다양성을 바탕으로 수월성을 추구해야
- 제6기 기초연구진흥협의회 신규 구성(총 26명), 제30회 기초연구진흥협의회 개최
- 『기초연구 질적 고도화를 위한 정책방향』 집중 논의, 심의‧확정
▪ (비전·투자·법령) ▲ 기초연구 본질에 충실한 비전 정립(‘기본으로 돌아가다), ▲ 안정적 투자 확보(정부 연구개발의 10% 이상), ▲ 기초연구진흥법 전면 개정
▪ (개인기초연구) ▲ 학문의 특성(‘연구의 성장’) 반영 지원체계로 개편, ▲ 유연한 예산 운용 방식(예측가능성↑) 도입, ▲ 우수 박사후 연구원(포닥)의 국내 복귀(Re-shoring) 프로그램 신설
▪ (집단연구) ▲ 정체된 연구비 상향 등 연구 여건 개선, ▲ 대학 내 연구그룹의 성장과 조직화(연구소 전환) 지원, ▲ 유형별(연구그룹, 기관) 지원 차별화
- 추가 정책과제로 ▲ 과기정통부(다양성 기반 수월성) + 교육부(보편성) 협력, ▲ 대학 단위 지원 도입, ▲ 대학 연구기반(디지털·융복합化) 확충 ▲ 연구전담인력 제도적 지원 제시
- 과기정통부‧교육부, ‘26년도가 기초연구 질적 고도화의 전기가 될 수 있도록 ▲안정적 지원규모(약 15,000여개 이상) 확보, ▲지원체계 개편 등도 신속 추진 예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는 ’25년 5월 20일(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30회 기초연구진흥협의회를 개최하고 「기초연구 질적 고도화를 위한 정책방향(안)」 등의 안건을 심의·의결하였다.
기초연구진흥협의회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법」에 따라 기초연구 관련 주요 사항을 심의하는 범부처 종합조정기구로 기존
이전글 | 국가바이오위원회 제2차회의 개최 |
---|---|
다음글 | ‘박쥐 유사장기(오가노이드)’로 미래 감염병 세계적 대유행(팬데믹) 막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