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로그인 안내 팝업창
계속 이용하시려면 재로그인 해주세요.
보도일 | 2025-04-29 | 조회수 | 9 |
---|---|---|---|
언론사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출처(링크) | URL 바로가기 |
주제(태그) | #첨단바이오#중점투자 | ||
첨부파일 |
|
- 반도체, 인공지능, 첨단 생명과학(바이오), 첨단 이동수단(모빌리티), 양자 분야로 확정 -
4년간 총 1조 원 규모로, 매년 약 2,500억 원 규모 자금 공급 예정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는 4월 25일(금)에 개최된 운영위원회를 통해 과학기술혁신기금(펀드)의 2025년 주목적 투자방향을 최종 확정하면서 ①반도체·디스플레이 ②인공지능 ③첨단 생명과학(첨단 바이오) ④첨단 이동수단(첨단 모빌리티) ⑤양자라는 5개 분야에 중점 투자한다고 밝혔다.
「과학기술혁신기금(과학기술혁신펀드)」는 정부 연구개발 자금을 관리하는 전담은행의 출자와 민간 투자를 연계하여 2028년까지 4년간 약 1조원 규모의 순수 민간재원으로 조성되는 과학기술분야 특화기금(특화펀드)으로,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와 기술사업화 기업에 중점 투자될 계획이다. 올해는 총 2,500억 원 규모로 자기금(자펀드)을 조성하여 12대 국가전략기술*분야로서 시장수요가 높은 5개 분야를 중심으로 투자된다.
* 선도분야(반도체, 이차전지, 차세대통신), 추격·경쟁분야(인공지능, 첨단 생명과학(첨단바이오), 차세대원자력, 첨단 이동수단(첨단모빌리티), 첨단로봇제조, 사이버보안), 미래도전분야(양자, 우주항공해양, 수소)
먼저, 기술선도 분야인 ①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는 1개의 운용사를 선정해 은행 출자금 350억 원을 바탕으로 총 1,000억 원 규모의 기금(펀드) 조성을 추진한다. 선정된 운용사는 해당분야 중견·중소기업에 40%이상,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에 60% 이상 의무 투자(중복 가능)하도록 하여 우수한 기술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추격·경쟁 분야인 ②인공지능 ③첨단 이동수단(첨단 모빌리티) ④첨단 생명과학(첨단 바이오) 분야의 경우 각 1개의 운용사를 선정하여 은행 출자금 200~210억 원을 바탕으로 각각 총 400~420억 원 규모의 기금(펀드) 조성을 추진한다. 선정된 운용사는 해당 분야 중소·중견기업에 40% 이상, 12대 국가전략
이전글 | 인공지능 기술과 첨단 생명과학(첨단바이오) 기술의 융합으로 생명과학(바이오) 혁신을 가속화하고 미래 신성장동력 창출 |
---|---|
다음글 | 기업의 해외 신시장 개척, 연구개발로 돕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