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로그인 안내 팝업창
계속 이용하시려면 재로그인 해주세요.
보도일 | 2025-02-26 | 조회수 | 16 |
---|---|---|---|
언론사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출처(링크) | URL 바로가기 |
주제(태그) | #생명과학#바이오원#연구소재#교류회 | ||
첨부파일 |
|
생명과학(바이오) 연구 소재 정보를 알기 쉽게! 찾기 쉽게! 다양하게! 바이오원(BioOne) 새 단장
- 생명과학(바이오) 소재 정보 통합 온라인 체계 기반(플랫폼, BioOne) 현장교류회 개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는 2월 25일 생명과학(바이오)소재와 관련 정보를 검색하고 분양까지 한 곳에서 할 수 있는 ‘생명과학(바이오)소재 정보 통합 온라인 체계 기반(플랫폼)’(이하, ‘바이오원<bioone style="box-sizing: inherit;">’)의 새 단장을 맞이하여 현장교류회를 개최하였다.</bioone>
※ (일시/장소) 2025. 2. 25.(화) 14:00~15:3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오창분원
정부는 지난 1월 국가바이오위원회를 개최하여 ‘생명과학(바이오)경제 시대, 대한민국 생명과학(바이오) 대전환 전략’을 발표하고 데이터 기반으로 생명과학 연구개발의 체계를 전환한다고 밝힌 바 있다. 동 전략의 핵심 목표에 따라 국가생명과학데이터 온라인 체계 기반(바이오데이터플랫폼)에 2035년까지 생명과학(바이오) 데이터 1,000만 건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하여, 생명과학(바이오)소재 분야에서도 고품질 실물 소재와 함께 소재 데이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생명과학(바이오)소재는 첨단생명과학(바이오) 산업 혁신을 위한 연구개발의 필수재로 인식되고 있으나 다양한 정보(논문, 특허, 연구데이터 등)의 홍수 속에서 연구에 적합한 고부가 가치 소재를 검색하고 활용하기까지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연구자들이 바이오소재 관련 정보를 알기 쉽고, 찾기 쉬우며,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길라잡이로서 바이오원(BioOne)을 새롭게 단장하게 되었다.
바이오원(BioOne)은 2024년 3월 1차 공개한 이후 모형(모델) 동물, 미생물, 종자 등 범부처 9개 생명과학(바이오)소재 산학협력지구(클러스터)를 연계 완료하였으며 현재 국외 논문 3,800만 건, 국내 논문 83,200건, 소재 정보 39만 건, 국내외 특허 178만 건, 지식정보(질병, 약물, 목표물<타겟>) 11만 건, 연구데이터 12,000건 등에 대한 통합검색 및 소재 분양까지 일괄로 지원되고 있다.
※ (새 단장 주요 내용) <기존> → <개선>
3개 분야 소재 정보 연계·제공 → 9개 소재 산학협력지구 정보 연계·제공
국외 논문 → 국내외 논문 및 특허 정보 제공
단순 검색·분양 → 소재·논문·특허 길안내 도우미 (네비게이션)·분양 기능
<생명과학(바이오)소재 정보 일괄 온라인 체계 기반(플랫폼) 개념도> | < 생명과학(바이오)소재 분야 길라잡이 바이오원(BioOne) > |
|
|
바이오원(BioOne)은 생명과학(바이오) 분야에서 수요가 높은 질병 및 유전자를 중심으로 ▴논문 ▴국‧내외 특허 ▴연구데이터 등의 데이터베이스(DB)를 확대함으로써 국내·외 연구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쉽게 검색하고 필요한 소재를 쉽게 분양받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소재 간 융합연구가 활성화되고 연구와 산업의 협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이전글 | 류광준 과기혁신본부장 혁신의 시야 확보, 과학기술 체력을 튼튼히 기초기반 중장기 투자방향 논의 |
---|---|
다음글 | 유상임 장관, 국가연구개발에서 과기출연(연)의 역할 확대 강조 |